삼차신경통 치료약

삼차신경통 치료약

20240330 111731

이름은 리리카로 신경통의 통증을 다스리는데 일반적으로 쓰이는 약이다.

리리카 라는 약은 현재 먹고 있는 약이기도 하다.

리리카는 비보험으로 전액 약값은 본인이 부담해야 한다.

20240330 112030

리리카캡슐 75 mg, 150 mg, 300 mg (프레가발린)
Lyrica capsules 75 mg, 150 mg, 300 mg (프레가발린)

<원료약품의 분량>

리리카캡슐 75 mg: 매 캡슐당 프레가발린(별규) 75 mg 을 함유

리리카캡슐 150 mg: 매 캡슐당 프레가발린(별규) 150 mg 을 함유

리리카캡슐 300 mg: 매 캡슐당 프레가발린(별규) 300 mg 을 함유

<성상>

*리카캡슐 75 mg: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띄는 흰색의 분말이 든 상부 적갈색,
하부 흰색의 경질 캡슐제
*리리카캡슐 150 mg: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띄는 흰색의 분말이 든 상부 흰색,
하부 흰색의 경질 캡슐제
*리리카캡슐 300 mg: 흰색 또는 연한 노란색을 띄는 흰색의 분말이 든 상부 적갈색,
하부 흰색의 경질 캡슐제

<효능⋅효과>

1.성인에서 말초와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의 치료

2.간질
성인에서 이차적 전신증상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은 부분발작의 보조제

3.섬유근육통의 치료

<용법·용량>

이 약은 프레가발린으로서 1 일 총 투여용량을 1 일 2 회로 나누어 음식물과 상관없 이 경구 투여합니다. 이 약은 주로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 대해서는 용량이 조절되어야 합니다. (‘5. 신기능 장애환자’항 참고)

신경병증성 통증
1) 말초 신경병증성 통증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 일 150 mg 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3 일 내지 7 일 후에 1 일 300 mg 을 투여하는 것으로 증량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이후 7 일 간격으로 1 일 최대 600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2. 중추 신경병증성 통증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 일 150 mg 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1 주일 후에 1 일 300 mg 을 투여하는 것으로 증량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1 주일 후에 목표 1 일 용량인 60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목표 1 일 용량에서 내약성을 나타내지 않을 경우 용량
감소가 고려될 수 있습니다. (‘4. 투여의 중단’항 참고)

3. 간질
성인: 이 약은 시작용량으로 1 일 150 mg 을 투여할 수 있습니다. 개개 환자에서의 반응과 내약성에 근거하여 일주일 후에 1 일 30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필요하다면, 이 후 7 일 간격으로 1 일 최대 600 mg 까지 증량할
수 있습니다.

투여의 중단
현재의 임상적 경험에 따르면, 이 약의 투여를 중단할 경우, 적어도 1 주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점진적으로 중단하여야 합니다.

신기능 장애환자
이 약은 전신순환을 거친 후 미변화체의 형태로 주로 신장으로 배설됩니다. 이
약의 클리어런스는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신기능이
저하된 환자에서의 용량감소는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에 근거하여 개별화되어야
합니다. 크레아티닌 클리어런스[표 1]는 아래의 공식에 의해 결정됩니다.

20240330 164104

이 약은 혈액투석에 의해 혈장에서 효과적으로 제거됩니다. (4 시간 이내에
50%정도). 혈액투석을 하는 환자에서 프레가발린의 1 일 투여용량은 신기능에
근거하여 조정되어야 합니다. 신기능에 따른 1 일 투여용량 외에 매 4 시간 마다
혈액투석을 실시한 후에는 추가로 보충 용량을 즉시 투여하여야 합니다.

20240330 164125
20240330 164152

간기능 장애환자
간기능 장애환자에서의 용량조정은 필요치 않습니다.

소아 및 청소년 환자
만 12 세 미만의 소아와 만 12 ~ 17 세의 청소년 환자에 대하여 안전성 및 유효성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므로, 투여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고령자 (만 65 세 이상)
신기능이 저하된 고령자의 경우에는, 용량 감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사용상의 주의사항>

1. 경고 자살충동과 자살행동

1) 항간질약을 복용한 환자에서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을 보이는 위험성이 증가되므로 항간질약을 치료받은 환자는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 우울증의 발현 또는 악화 및 기분과 행동의 비정상적 변화에 대하여 모니터링되어야 합니다.

2) 항간질약을 처방받는 간질과 다른 많은 질병은 그 자체가 이환 및 사망,치료기간 동안의 자살충동과 자살행동의 위험성증가와 관련됩니다. 따라서, 처방자는 항간질약 처방시 환자의 치료기간 동안 자살충동 또는 자살행동과치료될 질병간의 연관성 유무 및 이 약의 유효성을 함께 고려합니다.

국내 시판 후 조사 결과
국내에서 재심사를 위하여 6 년 동안 3,926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용성적조사
결과 인과관계에 상관없이 유해사례 발현율은 4.96%(195 명/3,926 명, 262 건)로
보고되었고, 이 중 이 약과 인과관계를 배제할 수 없는 약물유해반응 발현율은
4.30%(169 명/3,926 명, 226 건)이었습니다. 졸음이 1.73%(68 명/3,926 명, 68 건)로
가장 많았고, 어지러움 1.71%(67 명/3,926 명, 67 건), 구강건조
0.53%(21 명/3,926 명, 21 건), 부종 0.31%(12 명/3,926 명, 12 건), 현훈
0.18%(7 명/3,926 명, 7 건), 구토, 말초부종이 각각 0.13%(5 명/3,926 명, 5 건),
떨림, 경련악화가 각각 0.10%(4 명/3,926 명, 4 건)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밖에 0.1%
미만으로 보고된 약물유해반응을 기관별로 분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리리카의 부작용 종류

전신: 피로, 무력, 보행이상

정신계: 성욕감소, 수면장애, 불면증

신경계: 운동실조, 구어장애, 감각이상, 기억력장애, 주의력 장애

소화기계: 변비, 위장장애, 혈변

신장 및 비뇨기계: BUN 증가, 요실금, 배뇨곤란

생식계 유방: 발기부전

대사 및 영양: 저혈당, 식욕증가

눈: 복시, 시야흐림

귀 및 부속기관: 귀울림

피부 및 피하조직: 안면부종, 피부질환

검사: 혈중크레아티닌증가, 체중증가

Leave a Comment